소보건축사사무소

000

00-1

0-0

diagram

1

1-3

2

3

4

6_

8

9

10-2

11h

a2

a3_1

g0

g1

G2

g5

g78

i(1)

i(2_1)

i(3-4)

i(7_1ba)

i(68)

i(z9)

sum

z_24

plans_Page_1

plans_Page_2

plans_Page_3

plans_Page_4

section_Page_1

section_Page_2

elevation_Page_1

elevation_Page_2

elevation_Page_3

elevation_Page_4

PROJECT DETAILS:

Project year  2014-2015

Location 71-7, Pado-gil, Sowon-myeon, Taean-gun, Chungchungnam-do, South Korea
Program  Guesthouse, Single family house
Site area   1,478 ㎡
Built area  182 ㎡
Total floor area 190.33 ㎡

Architect in charge   SHIN Hyun Bo
Project Team   KANG Min Hee

Construction   Mangchisori
Structure engineer   Yongwoo engineering
MEP engineer  Jungyeon engineering

Photograph   RYOO In Keun
CI design   SHIN Hae Yun

ABOUT PROJECT:

2015년에 완공된 멍집은 부부가 태안을 떠난 2019년 말까지 신현보 소장 부부의 집이었다. 처음 프로젝트를 기획하던 2014년 당시 각각 30대 초중반, 결혼 2년차였고, 둘 다 태어나서 그때까지 한번도 서울을 벗어나 산 적이 없었다.  다른 많은 젊은 부부들이 그렇듯 그들의 결혼생활도 전세자금 마련을 위한 빚에서 시작했고, 앞으로 아기가 태어나고 큰 집이 필요해지면 더 큰 빚을 지게 되는 악순환의 굴레에 들어갈 것이라 생각했다. 그 악순환을 선순환으로 바꾸기 위해, 홀로 사시는 장모님을 모시고 과감히 서울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다행히도 먼 친척 소유의 자그마한 땅이 태안군 바닷가 근처에 있었고, 그 땅의 일부를 매입할 수 있게 되었다. 마을의 이름은 ‘소원면 파도리’였는데, 마치 동화속 이름 같이 느껴졌다. 서울을 떠나기 위한 또 하나의 매력적인 계획을 세웠다. 집과 함께 작은 게스트하우스를 짓는 것이었는데, 좀 특별하게 반려견과 함께하는 여행객들만을 위한 장소를 만들고자 했다. ‘멍집’이라는 프로젝트명이자 후에 게스트하우스의 이름이 된 호칭은 이때 이미 정해졌다.

반려견 게스트하우스라는 프로그램을 위해 조금 특별한 시설들이 필요했는데, 그 중 건축적으로 가장 큰 숙제를 던져준 것은 운동장이었다.  반려견과 함께 휴양을 온 여행객이 본인의 반려견들과, 그리고 다른 손님들의 반려견들과도 자유롭게 뛰어놀 수 있는 장소가 꼭 필요하다는 것이었는데, 정작 대지는 심한 경사지인데다가 이미 게스트하우스와 단독주택이라는 두 개의 프로그램을 수용해야 하는 상황, 그리고 제한된 예산이 맞물리면서 쉽지 않은 숙제가 되었다.  하지만 운동장이라는 프로그램을 포기할 수는 없었기에 석축 기단을 만들어 되도록 평평한 땅을 우선 조성하기로 하였고, 이 곳에 든 공사비 만큼을 본채에서 줄여가기로 합의하였다.  이렇게 해서 나온 최종안은 본래 별채로 가기로 했던 게스트하우스와 본채를 하나의 몸체로 만들어 경사지에 1,2층으로 나누어쌓는 것이었다.

게스트하우스와 개인주택이 아래위로 위치하게 되면서 발생한 또다른 문제는 서로간의 프라이버시 보호 문제였다.  해결을 위해 2층 주택부를 어머님의 별채와 부부의 본채로 나누어 이동시키고 축을 틀어가면서 아래층 게스트하우스 매스와 겹치는 부분을 최소화하였다.  그리고 부득이하게 겹쳐지는 부분에는 각 층의 공용공간을 위치시켜 서로 최소한의 양해를 구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내었다.
개인주택부의 보안 문제도 있었는데, 이는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을 외부로 빼어 접근동선을 집 뒤로 길게 돌아가도록 함으로서 해결하였다.  이는 집에 들어가기까지의 시각적 즐거움도 선사하는데, 계단을 올라가 뒷마당을 통해 대문 앞에 다다르기까지 막혀있던 시야가, 대문을 열고 중정으로 들어서면서 경사지 아래 마을 전경을 한번에 맞이하며 한번에 트이게 되면서 전원생활의 기쁨을 자주 상기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었다.

게스트하우스 곳곳에는 반려견들을 위한 배려들이 들어있다.  우선 석축 위에 위치한 운동장에서의 안전을 위해 운동장 둘레에는 데크를 설치해 고객들의 속도를 줄이고, 펜스는 새로부재만을 이용하여 따로 디자인해서 반려견들이 타고 오르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게스트하우스는 별도의 내부복도 없이 각 객실과 공용식당이 각각 운동장에서 직접 출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는데, 이는 반려견들이 집 내외부를 자유롭게 오가며 즐길 수 있도록, 그리고 여행객들은 편안히 쉬면서 그것을 지켜볼 수 있게 하려는 배려였다.  이를 위한 보조수단으로 게스트하우스 전체의 바닥마감은 포세린타일을 이용하고, 머무는 공간은 침상을 제작하여 한단 높이는 방법을 택하였는데, 이는 반려견이 드나들 때마다 발을 닦이거나 하지 않고 조금 더 편하게 놀 수 있게 해주려는 시도였다.  또한 반려견들이 너무 덥거나 뜨겁게 느끼지 않도록, 바닥난방 대신 공조 방식을 택하여 바닥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게스트하우스의 모든 창문은 바닥까지 닿아있는 구조인데, 이는 반려견들의 눈높이를 고려한 디자인이었다.

제한된 예산과, 바닷가에 위치해 쉽게 염해를 입을 수 있는 환경은 멍집의 재료선정을 까다롭게 만들었다.  여러가지 연구 끝에 채택한 재료는 시멘트사이딩과 아스팔트슁글 지붕재였는데, 염해도 입지 않고 유지관리가 쉽다는 점, 그리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재료라는 점에서 이상적이라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흔히들 갖는 이 재료들에 대한 편견이 신경쓰였는데, 오히려 몇가지 디테일들을 연구함으로써 이 재료의 장점을 보여주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  시멘트사이딩 외장을 다소 흔하게 느껴지게 하는 가장 큰 요소는 재료 끝단과 창호 부분의 트림재라고 생각하였고, 이 부분의 디테일을 시공사와 함께 연구해나가며 현재의 모습을 만들어내었다.  또한 경량목구조의 특성상 반드시 필요한 지붕의 환기를 위해 생기는 디테일들도 바꾸어나가고 싶었는데, 이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리섬유계통의 단열재 대신 폴리우레탄 폼 계열의 단열재를 적용함으로써 이루어낼 수 있었다.  이런 시도들이 어우러져 최종적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재료이지만 하나로 통일되어 보이는 벽체와 지붕의 매스감을 만들어낼 수 있었고, 전체적으로 내부 프로그램 그대로 3등분되어보이는 기본 매스분절 개념도 유지할 수 있었다.

(글: 신현보, 2015/2020)

error: Content is protected !!